쇄골수술을 위한 마취에서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팔신경얼기 차단 병행 마취와 전신마취와의 비교연구

A Comparison of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with General Anesthesia for Clavicle Surgery: Pilot Trial

Article information

Soonchunhyang Med Sci. 2019;25(1):46-5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9 June 30
doi : https://doi.org/10.15746/sms.19.007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Seoul, Korea
유재화, 유재훈, 유규완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마취통증의학과
Correspondence to: Jae hwa Yoo Departmen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Seoul Hospital, 59 Daesagwan-ro, Yongsan-gu, Seoul 04401, Korea Tel: +82-2-709-9302, Fax: +82-2-790-0394, E-mail: lenael5719@gmail.com
Received 2019 May 30; Accepted 2019 June 17.

Trans Abstract

Objective

Recently, the cases about successful regional anesthesia using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for clavicle surgery have been repor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gional anesthesia using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with general anesthesia.

Methods

In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26 patients scheduled for elective clavicle surger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was general anesthesia group (GA group, n=13) and the second group for peripheral nerve block group (PNB group, n=13). Standardized general anesthesia was done to the patients assigned to the GA group and ultrasonography-guided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was done to the patients assigned to the PNB group. Postoperative sedation scale was assessed at post-anesthesia care unit, and pain scale using 10-cm Visual Analog Scale (VAS) was assessed at immediate postoperative, 30 minutes, 1 hour, 6 hours, and 24 hours. Patients needed additional analgesics, and time for first analgesic demand and duration from surgery to discharge was recorded.

Results

The pain VAS scales were less in PNB group than GA group from immediate postoperative time to 6 hours. The patients’ immediate postoperative sedation scale less than 4 were significantly less in PNS group than GA group. The duration from surgery to discharge was shorter in PNS group than GA group.

Conclusion

Regional anesthesia using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s a successful alternative to general anesthesia for clavicle surgery.

서 론

쇄골손상은 성인 외상성 골절의 약 2.6%–4%만을 차지하는 드문 손상이다[1,2]. 쇄골골절의 대부분은 보존적 방법이 시행되나 젊은 환자들이거나 2 cm 이상의 전위가 있는 경우 기능적인 결과를 위해 수술적 고정이 선호되고 있다[3]. 쇄골수술을 위한 마취는 수술 중 환자의 자세(beech chair position), 수술부위와 기도의 근접으로 인한 기도관리의 어려움과 쇄골의 신경지배 해부학적 측면의 논란으로 인해 전신마취가 흔히 사용되고 있다[4].

부위마취는 전신마취 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피할 수 있어 수술 후 스트레스 반응 감소, 수술 후 통증조절의 증진과 이에 따른 수술 후 아편양제제의 사용 감소와 수술 후 구역 및 구토(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의 감소, 회복의 증진, 의료비용의 감소와 연관된다고 알려져 있다[5,6]. 더욱이 부위마취 분야에서의 초음파의 사용은 주변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신경차단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의 용량을 줄이고, 바늘의 시행횟수를 줄이며 부위마취의 성공률을 증진시키고 부위마취로 인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7,8]. 따라서 전신마취를 대체할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적절한 부위마취방법을 사용하면 환자의 안전을 증진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쇄골수술을 위한 부위마취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쇄골의 신경지배에 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쇄골의 신경지배는 여러 신경의 분포를 함께 받고 있어 복잡하며, 여러 교과서에서도 의견이 일치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여러 신경차단이 사용되어왔으며 이 역시 통증조절 목적으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4]. 아직 해부학적 논란은 남아 있으나, 쇄골의 신경분포는 목신경얼기(cervical plexus)와 팔신경얼기(brachial plexus)가 함께 연관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두 가지 신경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함께 차단한 성공적인 마취사례가 보고되고 있다[9-15]. 그러나 여전히 정립되어 있는 방법이 없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전신마취와의 비교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이에 본 저자들은 초음파 유도하에 한 번의 바늘 삽입으로 시행되는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와 전신마취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시행 전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으며, 수술 전일 방문을 통해 연구에 대해 충분한 설명 후 동의를 받고 시행되었다. 18세 이상의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분류 1–2에 해당되고, 정규로 쇄골수술이 예정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 중 팔신경얼기 분포의 신경학적 결함, 횡격막 신경마비, 시술부위의 국소감염 징후, 출혈 경향성, 국소마취제의 과민반응 과거력, 임산부인 경우는 제외되었다. 환자는 수술 전일 선별 후 각 마취방법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받고 전신마취군(general anesthesia group) 15명, 신경차단마취군(peripheral nerve block group) 15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수술 당일 환자는 병동에서 정맥로를 확보한 후 마취 전 투약으로 glycopyrrolate 0.2 mg을 근주하고 수술방으로 이송되었다.

1. 마취방법

수술방에 도착한 후 전신마취군에 배정된 환자들에게는 표준화된 전신마취가 시행되었다. 표준감시(비침습적 혈압, 심전도, 맥박산소 포화도, bispectral index [BIS])하에 1% propofol 2 mg/kg와 rocuronium 0.6 mg/kg를 사용하여 마취유도를 하였으며, 기관삽관을 통해 기도를 확보하였다. 그 후 50% O2: air 혼합과 흡입마취제인 sevoflurane과 remifentanil의 지속주입으로 BIS 40–60을 기준으로 마취를 유지하였고, 근이완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추가의 rocuronium을 사용하였다. 수술이 끝난 후 수술 후 진통을 유지하기 위해 fentanyl 50 μg을 사용하였으며, pyridostigmine과 glycopyrrolate을 사용하여 근이완을 반전시켰다. 환자의 의식이 회복되고 자발호흡이 회복된 후 회복실로 이송하였다. 수술 후 통증조절을 위해 전신마취군의 모든 환자들은 fentanyl을 사용한 자가조절 통증치료법(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을 사용하였다. 사용한 IV-PCA는 fentanyl 1,000 μg, nefopam 100 mg, propacetamol 5 g과 ramosetron 0.6 mg을 100 mL의 생리식염수에 섞어 사용하였다(basal rate 1 mL/hr, bolus 1 mL, lock-out time 5 minutes).

신경차단마취군에 배정된 환자들은 수술방 도착한 후 표준감시(비침습적 혈압, 심전도, 맥박산소 포화도)하에 앙와위에서 환자의 머리를 시술의 반대쪽을 향하게 하였다. 시술부위를 chlorhexidine 2%를 사용하여 깨끗하게 한 후 소독포를 이용하여 덮었다. 그 후 초음파(LOGIQ P6 PRE;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 ML6-15 transducer)의 직선형 프로브(GE ML6-15)로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에 위치한 팔신경얼기와 흉쇄유돌근의 위치를 확인한 후 바늘(25 gauge, 60 mm length)을 사용하여 in-plane single-insertion, double-injection 방법으로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가 시행되었다(Figs. 1, 2). 사용한 국소마취제는 0.45% ropivacaine 20 mL에 dexamethasone 5 mg을 섞어서 준비하였다. 바늘은 초음파 프로브의 가쪽에서 안쪽으로 프로브를 따라 직선으로 진입하여 25 gauge 바늘의 끝을 팔신경얼기의 상부줄기(superior trunk)와 중간줄기(middle trunk) 사이에 위치시키고 만들어 놓은 국소마취제를 5 mL씩 나누어 총 15 mL를 주입하여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을 시행하였고, 바늘의 끝을 다시 흉쇄유돌근의 바로 밑 근막에 위치시키고 남은 5 mL를 주입하여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는 숙련된 한 시술자에 의해서 시행되었다. 시술을 마친 5분 후에 알코올 솜을 이용한 온도자각의 감소를 확인하고 수술부위의 pin prick검사를 통해 통증인지의 감소를 확인한 후 simple mask를 통해 6 L/min의 산소를 제공하면서 수술준비를 시작하였다. 수술 중 진정을 위해 2% lidocaine 40 mg 전 투약 후 1분 동안 2% propofol 1 mg/kg을 정주하였고 이어 50 μg/kg/min으로 지속 정주하였으며, 환자의 수술 중 진정 정도는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OAA/S Scale)이 2 이하로 감소되지 않도록 마취의의 재량에 의해 조절되었다(Table 1). Propofol의 지속주입은 피부의 봉합을 시행할 때 중지하였으며, 수술이 끝나고 상처 드레싱 후 회복실로 이송하였다. 수술 후 통증조절을 위한 fentanyl을 사용한 IV-PCA의 사용은 원하는 환자들에게 한하여 사용되었으며, 신경차단마취군 13명 중 7명의 환자들에게 시행되었다. 사용한 IV-PCA는 fentanyl 1,000 μg, nefopam 100 mg과 propacetamol 5 g과 ramosetron 0.6 mg을 100 mL의 생리식염수에 섞어 사용하였다(basal rate 0 mL/hr, bolus 1 mL, lock-out time 5 minutes).

Fig. 1.

Brachial plexus block. Visualiz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t the mid-neck level; the visualized needle and local anesthetic distribution was placed between superior trunk and middle trunk of brachial plexus during the performance of interscalene approach of brachial plexus block. SCM, sternocleidomastoid muscle.

Fig. 2.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Visualiz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t the mid-neck level; the visualized needle was placed posterior border of SCM during the performance of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SCM, sternocleidomastoid muscle.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2. 평가방법

모든 환자들은 수술명과 마취시간, 수술시간이 기록되었으며, 마취가 시작된 후 수술이 시작될 때까지의 기간도 기록되었다. 회복실에 도착한 직후 환자의 진정 정도를 OAA/S Scale을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통증 정도는 10 cm 시각상사척도(Visual Analog Scale, VA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회복실 도착 직후, 수술 후 30분, 1시간, 6시간, 24시간에 각각 평가되어 기록되었으며, 추가로 진통제의 필요 여부와 주입된 시간이 기록되었다. 수술 후 24시간 방문 때는 환자의 통증 정도와 함께 잔여감각 및 운동차단 여부와 다른 합병증 여부가 함께 평가되었다. 또한 회복실 재실기간과 수술일로부터 환자의 퇴원까지의 기간도 기록되었다.

3. 통계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은 IBM SPSS ver. 25.0 (IBM Corp., Armonk, NY, USA)를 이용하여 범주형 변수는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또는 피셔의 정확도 검정(Fisher’s exact test)을 시행하고 연속형 변수는 Kolmogorov-Smirnov 정규성 검정을 시행한 후 정규분포를 만족하는 경우 t-검정(Student t-test)을 실시하고 정규분포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Mann-Whitney검사를 통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정규분포를 갖는 연속형 변수는 평균 ±표준편차로 표기되었으며, 정규분포를 만족하지 않는 연속형 변수는 중앙값(최소값–최대값)으로 표기하였다. 모든 범주형 변수는 백분율과 함께 빈도를 표기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P< 0.05로 결정하였다.

결 과

전체 30명의 환자들을 선별하여 전신마취군 15명, 신경차단마취군 15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연구 진행 중 전신마취군 2명과 신경차단마취군 2명은 수술 취소 및 수술방법 변경으로 탈락되어 전신마취군 13명과 신경차단마취군 13명이 최종 분석되었다. 신경차단마취군 중 한 명의 환자에서 수술 시작 시 이환부위의 작은 움직임이 관찰되었으나 propofol의 용량 증량 후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었으며 전신마취로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는 없었다.

두 군 간의 나이, 성별, 몸무게, 키, 미국마취과학회 신체등급지수, 수술종류와 마취시간 및 수술시간, 마취 시작부터 수술 시작까지 걸리는 시간(induction time) 모두 두 군 간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Patients’ characteristics

두 군 간의 수술 후 통증 10 cm VAS 점수는 회복실 도착 직후부터 수술 후 6시간까지 전신마취군에 비해 신경차단마취군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의미 있는 점수라고 판단되는 VAS >2의 통증을 호소한 환자 역시 회복실 도착 직후부터 수술 1시간까지 전신마취군에 비해 신경차단마취군에서 적었다. 그러나 추가로 진통제가 필요한 환자와 주입된 시간에는 통계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Table 3).

Postoperative pain

회복실에 도착한 직후 OAA/S Scale이 4 이하의 진정을 보인 환자는 전신마취군에 비해 신경차단마취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 0.001). 그러나 회복실 재원기간은 두 군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283). 수술 후 퇴원까지의 기간은 신경차단마취군에 비해 전신마취군에서 유의하게 길었다(P= 0.039) (Table 4).

Postoperative values

신경차단마취군의 환자들은 수술 후 24시간 후 방문에서 상지 및 어깨의 감각과 운동의 회복을 확인하였으며, 두 군 모두에서 수술 후 구역과 구토 그리고 호흡곤란 등의 다른 합병증은 보이지 않았다.

고 찰

본 연구에서 쇄골수술은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통해 안전하게 시행되었으며, 신경차단을 시행하기 위한 시간의 증가 없이 수술 후 회복 및 통증조절이 증진되었다.

쇄골의 신경분포는 복잡하고 해부학적으로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목신경얼기에서 기인한 상쇄골신경(supraclavicular nerve)과 팔신경얼기의 상부줄기(superior trunk)에서 기인한 신경들이 함께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4].

목신경얼기에서 기인한 상쇄골신경은 쇄골과 어깨의 근막, 피부에 신경 분포하여 쇄골손상의 통증과 관련이 된다. Choi 등[16]은 전신마취하에 시행된 쇄골수술 환자에게 경부신경 총 차단을 통해 수술 후 14시간까지 통증조절을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였고, Herring 등[17]은 응급실에서 쇄골골절에 대한 통증조절을 위해 0.5% bupivacaine 8 mL를 이용한 표재성 경부신경 총 차단으로 인해 성공적으로 통증을 줄였다고 보고하였다(VAS 9/10→1–2/10).

그러나 쇄골의 신경지배는 목신경얼기 외에도 팔신경얼기의 상부줄기에서 기인한 신경들의 지배도 복합적으로 받고 있어 경부신경 총 차단만으로는 통증조절에 제한이 있다. Kline [18]은 한 번의 선택적 C5 신경근 차단과 지속적인 표재성 경부신경 총 차단을 하여 통증을 감소시켰으나 감각이 유지되어 전신마취로 전환하였고, 시간이 지나 통증이 증가하여 지속적인 C5 신경근 차단을 통해 통증을 감소시킨 증례를 보고하였다. 또한 Shanthanna [19]은 전신마취하에 쇄골수술을 하는 증례에서 병행하여 시행된 선택적 C5 신경근 차단과 표재성 경부신경 총 차단의 병행차단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최근에는 통증조절을 위한 신경차단이나 전신마취와 병행해서 시행된 경우가 아닌 단독으로 시행된 부위마취의 증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2014년에 Vandepitte 등[15]은 임신한 산모의 쇄골 골절수술을 위해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성공적으로 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같은 해에 Dillane 등[11]은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쇄골상 접근법을 이용한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통한 성공적인 마취를 보고하였다. 2015년에 Reverdy [12]도 12명의 쇄골수술을 받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통해 전신마취로의 전환 없이 성공적으로 마취를 시행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016년에 Ueshima와 Otake [14]는 선택적인 C5, 6 신경근차단과 함께 시행한 선택적인 상쇄골 신경차단(supraclavicular nerve block)을 통해 성공적인 수술을 위한 마취를 시행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Contractor 등[10]은 3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쇄골수술을 위한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고 보고하였다. 2017년에는 Shrestha와 Sharma [13]는 쇄골수술을 위해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통해 성공적으로 시행된 두 개의 증례를 보고하였고, Balaban 등[9] 역시 12명의 쇄골수술을 받는 환자들에게 초음파 유도하에 한 번의 바늘 삽입으로 시행되는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마취를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여러 증례들과 해부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의 병행차단이 쇄골수술을 위한 부위마취에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부위마취 대상자들 중 한 명도 전신마취로 전환되는 부위마취의 실패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신경차단을 통한 부위마취는 전신마취에 비해 신경차단을 시행하기 위한 추가의 시간이 더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5,6,20]. Hadzic 등[5]도 신경차단마취를 시행 받는 경우 5분이 더 길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신경차단마취를 시행하여 수술을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전신마취를 시행하고 수술을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충분히 숙련된 시술자에 의해 신경차단마취가 시행되었으며, 완전한 신경차단을 기다리지 않고 통증과 온도감각의 저하로 신경차단부위를 확인 후 바로 수술준비를 시작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신경차단마취를 시행할 때 본 연구에서 시행되었던 것과 같이 온도감각과 통감으로 신경차단부위를 확인한 후 바로 수술을 준비한다면 임상상황에서 시간을 충분히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신경차단을 통한 부위마취는 전신마취에 비해 수술 직후 통증조절에 우월하다고 보고되어왔다[5,6]. 본 연구에서도 회복실 도착 직후 신경차단마취를 시행 받은 군에서는 VAS 0–1점으로 거의 통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수술 후 24시간(pain VAS 0–3)까지도 이어졌다. 하지만 전신마취군에서는 회복실 도착 직후부터 통증지수 2를 초과하는 moderate pain을 호소한 환자가 4명(30.8%)이었으며, 이 4명의 환자들은 회복실에서 추가의 아편양제제(fentanyl 50 μg)의 사용이 필요하였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수술 초기의 통증점수가 부위마취군에서 더 적은 것과 연속성이 있다[20].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전신마취를 시행 받은 모든 환자들에게 IV-PCA를 이용한 수술 후 통증관리를 시행함으로 인해 그 차이가 IV-PCA를 시행 받지 않은 이전 연구보다 적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IV-PCA의 사용은 수술 후 통증 VAS가 이전 연구들에 비해 작은 것, 수술 후 6시간 이후 빠르게 통증 VAS의 통계적 차이가 줄어드는 것, 추가로 진통제가 필요한 환자와 주입된 시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과도 연관되어 있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20].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신경차단마취를 시행 받은 환자 중 7명의 환자에게도 IV-PCA가 시행되었으며, 비록 지속적인 사용(basal rate 0 mL/hr) 없이 필요시에 사용되는 용량(1 mL)만 설정하여 그 사용량은 크지 않았으나 총 사용량이 조사되지 않아 그 영향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수술 후 구역 및 구토는 통증조절을 위해 사용된 아편양제제로 인해 전신마취군에서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든 환자들에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본 연구에서 전신마취군에 사용된 IV-PCA를 다중약물투여법(multimodal approach)으로 paracetamol과 nefopam 등의 다른 진통제와 함께 사용하여 아편양제제의 사용을 줄였으며, 항 구역 구토제인 ramosetron을 함께 사용하였기 때문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본 수가 작은 예비연구로 더 많은 표본 수를 이용한 추가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Hadzic 등[5]은 신경차단마취를 시행 받은 환자들이 전신마취를 시행 받은 환자들에 비해 빠른 회복을 보였다고 하였으나, 이는 전신마취를 시행하더라도 BIS 등의 마취 심도장비를 사용하여 적절한 마취 깊이를 조절하면 그 차이가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BIS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마취 깊이를 조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경차단마취를 시행 받은 군에서 전신마취를 시행 받은 환자에 비해 회복실 도착 직후 OAA/S Scale 4 이하의 진정을 보인 환자의 수가 유의하게 적게 나타났다. 이는 신경차단마취군에서 피부봉합 시기부터 propofol 진정을 중단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 후 수술부위 드레싱 시기부터 통증 없는 명확한 의식회복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회복실 퇴실까지의 시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수술 후 퇴원까지의 기간은 신경차단마취를 시행 받은 군에서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조사되었다(1–2일 versus 1–6일). 수술 후 재원기간은 수술 후 통증관리 및 합병증 등 다양한 원인에 기인한다. 이 연구에서의 재원기간의 단축은 수술 직후 통증의 감소와도 연관이 있으리라 추정되나 수술 6시간 이후 통증 정도가 크게 차이 나지 않아 그 영향은 크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재원기간의 감소는 그 외의 여러 다른 요인들이 관여하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군 수가 적은 연구이므로 속단하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추정된다.

이 연구는 예비연구(pilot trial)로서 충분한 검정력을 가질 수 있는 표본 수가 확보되지 않아 본 연구의 결과를 확대 해석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추후에 더 큰 표본 수를 갖는 적절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쇄골수술을 위한 표재 목신경얼기 차단과 사각근간 팔신경얼기 차단을 병행한 신경차단마취는 성공적으로 전신마취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이며, 수술 후 빠른 회복과 통증관리 및 빠른 퇴원과 연관이 있다.

References

1. Donnelly TD, Macfarlane RJ, Nagy MT, Ralte P, Waseem M. Fractures of the clavicle: an overview. Open Orthop J 2013;7:329–33.
2. Postacchini F, Gumina S, De Santis P, Albo F. Epidemiology of clavicle fractures. J Shoulder Elbow Surg 2002;11:452–6.
3. Fanter NJ, Kenny RM, Baker CL 3rd, Baker CL Jr. Surgical treatment of clavicle fractures in the adolescent athlete. Sports Health 2015;7:137–41.
4. Tran DQ, Tiyaprasertkul W, Gonzalez AP. Analgesia for clavicular fracture and surgery: a call for evidence. Reg Anesth Pain Med 2013;38:539–43.
5. Hadzic A, Arliss J, Kerimoglu B, Karaca PE, Yufa M, Claudio RE, et al. A comparison of infraclavicular nerve block versus general anesthesia for hand and wrist day-case surgeries. Anesthesiology 2004;101:127–32.
6. Liu SS, Strodtbeck WM, Richman JM, Wu CL. A comparison of regional versus general anesthesia for ambulatory anesthesia: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esth Analg 2005;101:1634–42.
7. Gautier P, Vandepitte C, Ramquet C, DeCoopman M, Xu D, Hadzic A. The minimum effective anesthetic volume of 0.75% ropivacaine in ultrasound-guide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Anesth Analg 2011;113:951–5.
8. Neal JM. Ultrasound-guided regional anesthesia and patient safety: update of an evidence-based analysis. Reg Anesth Pain Med 2016;41:195–204.
9. Balaban O, Dulgeroglu TC, Aydın T. Ultrasound-guided combined interscalene-cervical plexus block for surgical anesthesia in clavicular fracture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Anesthesiol Res Pract 2018;2018:7842128.
10. Contractor HU, Shah VA, Gajjar VA. Ultrasound guid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for clavicular surgery. Anaesth Pain Intensive Care 2019;:447–50.
11. Dillane D, Ozelsel T, Gadbois K. Anesthesia for clavicular fracture and surgery. Reg Anesth Pain Med 2014;39:256.
12. Reverdy F. Combined interscalene-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for clavicle surgery: an easy technique to avoid general anesthesia. Br J Anaesth 2015;115(eLetters Suppl)https://doi.org/10.1093/bja/el_12970.
13. Shrestha BR, Sharma P. Regional anaesthesia in clavicle surgery. JNMA J Nepal Med Assoc 2017;56:265–7.
14. Ueshima H, Otake H. Successful clavicle fracture surgery performed under selective supraclavicular nerve block using the new subclavian approach. JA Clin Rep 2016;2:34.
15. Vandepitte C, Latmore M, O’Murchu E, Hadzic A, van de Velde M, Nijs S. Combined interscalene-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s for surgical repair of a clavicular fracture in a 15-week pregnant woman. Int J Obstet Anesth 2014;23:194–5.
16. Choi DS, Atchabahian A, Brown AR. Cervical plexus block provides postoperative analgesia after clavicle surgery. Anesth Analg 2005;100:1542–3.
17. Herring AA, Stone MB, Frenkel O, Chipman A, Nagdev AD. The ultrasound-guid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for anesthesia and analgesia in emergency care settings. Am J Emerg Med 2012;30:1263–7.
18. Kline JP. Ultrasound-guided placement of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and selective C5 nerve root catheters: a novel approach to treating distal clavicle surgical pain. AANA J 2013;81:19–22.
19. Shanthanna H. Ultrasound guided selective cervical nerve root block an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for surgeries on the clavicle. Indian J Anaesth 2014;58:327–9.
20. Kay JP, Potsangbam S, Gangmei D, Yashobanta T, Singh LD, Khuo D, et al. Comparison of combine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SCPB) and interscalene brachial plexus block (IBPB) with general anaesthesia (GA) in patients for clavicle surgery in terms of outcome in the immediate post-op period. IOSR J Dent Med Sci 2018;17:33–4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 1.

Brachial plexus block. Visualiz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t the mid-neck level; the visualized needle and local anesthetic distribution was placed between superior trunk and middle trunk of brachial plexus during the performance of interscalene approach of brachial plexus block. SCM, sternocleidomastoid muscle.

Fig. 2.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Visualization of the anatomical structures at the mid-neck level; the visualized needle was placed posterior border of SCM during the performance of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SCM, sternocleidomastoid muscle.

Table 1.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Content Score
Responds readily to name spoken in normal tone 5
Responds lethargically to name spoken in normal tone 4
Responds only after name is called loudly, repeatedly, or both 3
Responds only after mild prodding or shaking 2
Responds only after painful trapezius squeeze 1
Does not respond to painful trapezius squeeze 0

Table 2.

Patients’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 GA group (n= 13) PNB group (n= 13) P-value
Age (yr) 51.5 ± 17.6 67.9 ± 13.2 0.241
Sex (male:female) 8:5 10:3 0.673
Weight (kg) 68.05 ± 15.32 69.45 ± 11.87 0.797
Height (cm) 166.46 ± 8.63 167.23 ± 8.94 0.825
ASA classification (1/2) 9/4 9/4 1.000
Surgical type 1.000
 Shaft OR-IF 6 6
 Distal OR-IF 6 6
 Removal 1 1
Anesthesia time (min) 93.08 ± 21.56 101.54 ± 15.86 0.266
Operation time (min) 56.85 ± 19.52 67.92 ± 13.17 0.103
Induction time (min) 26.23 ± 6.93 28.62 ± 5.75 0.30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of patients. GA group: the group of general anesthesia; PNB group: the group of combined brachial plexus block an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ASA,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OR-IF, open reduction-internal fixation.

Table 3.

Postoperative pain

Variable GA group (n = 13) PNB group (n = 13) P-value
Pain VAS
 At arrival PACU 1 (1–6) (5) 0 (0–1) 0.000
 Postop 30 min 2 (1–3) (2) 0 (0–1) 0.000
 Postop 1 hr 3 (1–6) (5) 0 (0–2) 0.000
 Postop 6 hr 2 (0–6) (6) 0 (0–3) 0.002
 Postop 24 hr 2 (0–7) (7) 1 (0–3) 0.440
Pain VAS > 2
 At arrival PACU 4 (30.8) 0 0.096
 Postop 30 min 6 (46.2) 0 0.015
 Postop 1 hr 10 (76.9) 0 0.000
 Postop 6 hr 4 (30.8) 1 (7.7) 0.322
 Postop 24 hr 3 (23.1) 1 (7.7) 0.593
Needed additional analgesics 8 5 0.434
Time for first analgesic demand (min) 27.5 (0.5–48.0) 48.0 (11.5–48.0) 0.200

Values are presented as median (minimum–maximum), number, or number of patients.

GA group: the group of general anesthesia; PNB group: the group of combined brachial plexus block an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VAS, Visual Analogue Scale; PACU, post-anesthesia care unit; Postop, postoperative.

Table 4.

Postoperative values

Postoperative values GA group (n = 13) PNB group (n = 13) P-value
OAA/S scale at arrival PACU ≤ 4 1 (7.7) 10 (76.9) 0.001
PACU duration (min) 30 (25–55) 35 (25–85) 0.283
Duration from surgery to discharge (day) 4 (1–7) 2 (1–3) 0.039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of patients or median (minimum–maximum). GA group: the group of general anesthesia; PNB group: the group of combined brachial plexus block and superficial cervical plexus block.

OAA/S Scale, Observer’s Asses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PACU, post-anesthesia care unit.